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atabase
- JVM
- jpa
- oracle
- 자바네트워크
- 역학
- NIO
- 유닉스
-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기사
- 소프트웨어공학
- 데이터베이스
- Java
- 자바암호
- python
- 리눅스
- kotlin
- spring data jpa
- GPT-4's answer
- 고전역학
- 인프라
- chatGPT's answer
- 코틀린
- spring integration
- flet
- 파이썬
- write by GPT-4
- 시스템
- write by chatGPT
- 웹 크롤링
- 자바
- Today
- Total
목록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기사 (13)
기억을 지배하는 기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g3Wn/btsMjisSt1G/d4IBf5RfBSUC2uhkZIlQz0/img.jpg)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신재생에너지법)은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이용을 촉진하고 보급을 확대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환경 보호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법률입니다. 태양광 발전 사업을 추진할 때, 이 법령을 반드시 검토해야 함.1. 신재생에너지법의 목적과 적용 대상1) 법의 목적 (제1조)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확대에너지 공급의 다변화 및 안정성 확보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 보호2) 적용 대상태양광, 풍력, 바이오, 수소,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려는 기업 및 개인신재생에너지 관련 연구기관 및 공공기관2. 신재생에너지의 정의 및 범위 (제2조)신재생에너지는 크게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로 나뉨.구분주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Icvr/btsMf7dAlCX/3671nuI97fkMzjhL3WIPf0/img.jpg)
전기사업법태양광 발전 사업을 추진할 때 반드시 검토해야 하는 전기사업 관련 법령은 주로 전기사업법 및 관련 시행령·시행규칙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 전기사업법 개요전기사업법(전기위원회 소관)은 전기사업의 적정한 운영과 전력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 법령입니다. 태양광 발전사업과 관련된 주요 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기사업의 종류 (전기사업법 제2조)전기사업법에서는 전기사업을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전기판매사업: 발전한 전기를 전력시장 또는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사업 (예: 한전)전력중개사업: 신재생에너지 소규모 전력공급자를 대신하여 전력을 거래하는 사업전기공급사업: 직접 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사업자가용전기설비: 본인 사용 목적의 발전 설비태양광 발전 사업자는 보통 전기판매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4cZio/btsMd95dype/dZa2v3IRA95Ct8Mg9C4yv0/img.jpg)
발전부지 면적태양광 발전소를 계획할 때 발전부지의 면적은 발전 용량과 경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소의 부지 면적은 설치 용량(kW, MW)당 필요한 면적, 패널 배치 방식, 부지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1. 발전설비 용량 산정발전부지 면적에 설치될 태양광발전소 설비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태양전지모듈, 인버터, 접속반 등 최적 태양광발전설비를 확정한다.확정된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 후 최적 태양광 어레이 경사각 및 이격거리를 확정한다.기본설계 실시로 발전량을 확정한다.2. 태양광 발전소 용량별 예상 부지 면적태양광 발전소의 용량에 따른 대략적인 부지 면적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발전 용량 필요 부지 면적 (평균, 평방미터 기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wyAW/btsMeywiGzK/yJbneWm9LxpshMa2LPw9qk/img.jpg)
태양광발전부지 타당성 검토부지가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태양광발전소 건설에 대한 사업비의 기본구상을 토대로 인허가, 경제적 타당성, 재무적 타당성, 기술적 타당성, 사회 및 환경적 타당성을 사전에 종합적으로 판단, 태양광발전설비의 실현방법에 있어 여러 대안을 비교 · 검토 최적안을 선정, 그에 대한 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기본설계용역에 기본이 되는 기술자료를 작성한다.인허가 사항 조사1) 생태보전지구 등급에 따른 확인 사항태양광 발전소를 개발하려는 부지가 생태보전지구(생태자연도)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환경 영향을 고려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생태보전지구는 환경부에서 정한 생태자연도 등급(1등급, 2등급, 3등급)에 따라 개발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HxgS/btsMb0G8pql/436aphsTnPKpkFKbp6XqGk/img.jpg)
입지 관련 분석 개요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려면 다양한 입지 관련 요소를 분석해야 합니다.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기 위해 기상, 지형, 인프라, 법규, 환경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기후 및 기상 요소 분석① 일사량 (Solar Irradiance)태양광 발전의 핵심 요소로, 패널이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을 나타냄.주요 데이터:연평균 일사량 (kWh/m²/year)월평균 일사량 (kWh/m²/month)일평균 일사량 (kWh/m²/day)일사량이 높은 지역일수록 발전 효율이 높음.NASA, PVGIS, Meteonorm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② 일조시간 (Sunshine Duration)하루 동안 태양이 떠 있는 총 시간.일사량과 함께 발전 가능 시간을 결정하는 요소.여름철과 겨울..
태양광 발전에서 위도, 경도, 방위, 고도각의 역할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최적화하려면 위도, 경도, 방위각, 고도각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각각의 개념과 태양광 발전과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1. 위도(Latitude) & 경도(Longitude)① 위도 (Latitude)지구상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남북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단위: 도(°)북반구(0°~90°N) / 남반구(0°~90°S)태양광 패널의 최적 경사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위도가 높을수록(극지방에 가까울수록) 태양고도가 낮고, 태양광 발전 효율이 감소.🔹 태양광 발전과 위도의 관계적도(0°) 근처: 태양이 거의 수직으로 내리쬐므로 패널 각도가 거의 필요 없음.중위도(30°~50°): 패널의 경사각을 조정해야 최적의 일사량 확보 가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hlBZ/btsMd3h4vr8/HRqBsmCLKnEgxyK5rpyQJ0/img.jpg)
주변 기상ㆍ환경 검토 개요태양광발전 사업을 추진할 때, 사업의 경제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변 기상 및 환경 요소를 철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분석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 효율, 유지보수 비용,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최적의 입지를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1. 기상 분석 (Meteorological Analysis)태양광 발전량은 태양광 패널이 받는 일사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해당 지역의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일사량 (Solar Irradiance)태양광 발전의 핵심 요소로, 태양으로부터 지표면에 도달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연평균 및 계절별 일사량 분석을 통해 발전량 예측이 가능함.평균 일사량이 높은 지역일수록 발전 효율이 높음.측정 단위: kWh/m²/..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1acp9/btsLUgaT4W7/RXmBXWOv8F9Fl5F7uE7UL0/img.jpg)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전력변환장치(인버터)전력변환장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된 직류(DC) 전력을 가정이나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류(AC)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인버터(Inverter)라고도 불립니다. 전력변환장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전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전력변환장치는 효율 향상, 다기능화,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 인버터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자동 제어를 통해 발전량 최적화 및 에너지 관리 기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상 변화와 전력 소비 패턴에 맞춘 최적의 전력 관리를 목표로 합니다.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