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시스템
- python
- chatGPT's answer
- NIO
- spring data jpa
- 자바
- 소프트웨어공학
- flet
- Database
- 인프라
- jpa
- oracle
- 유닉스
- 역학
- Java
- 파이썬
- kotlin
- 자바암호
- JVM
- 리눅스
- write by GPT-4
- spring integration
- android
- 코틀린
- 고전역학
- GPT-4's answer
- 데이터베이스
- 자바네트워크
- 웹 크롤링
- write by chatGPT
Archives
- Today
- Total
기억을 지배하는 기록
주변 기상ㆍ환경 검토 - 위도, 경도, 방위, 고도각 본문
728x90
태양광 발전에서 위도, 경도, 방위, 고도각의 역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최적화하려면 위도, 경도, 방위각, 고도각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각각의 개념과 태양광 발전과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위도(Latitude) & 경도(Longitude)
① 위도 (Latitude)
- 지구상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남북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 단위: 도(°)
- 북반구(0°~90°N) / 남반구(0°~90°S)
- 태양광 패널의 최적 경사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 위도가 높을수록(극지방에 가까울수록) 태양고도가 낮고, 태양광 발전 효율이 감소.
🔹 태양광 발전과 위도의 관계
- 적도(0°) 근처: 태양이 거의 수직으로 내리쬐므로 패널 각도가 거의 필요 없음.
- 중위도(30°~50°): 패널의 경사각을 조정해야 최적의 일사량 확보 가능.
- 고위도(50° 이상): 태양이 낮게 떠서 발전량이 적고, 겨울철 발전량이 크게 감소.
② 경도 (Longitude)
- 지구상에서 본초 자오선(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을 나타내는 좌표.
- 단위: 도(°)
- 동경(0°~180°E) / 서경(0°~180°W)
🔹 태양광 발전과 경도의 관계
- 경도 자체는 태양광 발전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
- 하지만 경도에 따라 태양의 정오 시간(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시간)이 달라짐.
- 태양광 추적 시스템이 있는 경우, 경도를 고려한 추적 시스템 세팅이 필요.
2. 방위각(Azimuth Angle)
① 개념
- 태양광 패널이 바라보는 수평면상의 방향을 나타냄.
- 남(북)을 기준으로 동쪽 또는 서쪽으로 이루고 있는 각.
- 기준: 진북(North) = 0°, 시계 방향으로 측정.
- 동쪽(E) = 90°
- 남쪽(S) = 180°
- 서쪽(W) = 270°
② 태양광 발전 최적 방위각
- 태양광 발전에서는 최적의 방위각을 찾는 것이 중요함.
- 북반구에서는 태양이 남쪽 하늘을 지나가므로, 일반적으로 남향(180°)이 최적.
- 남반구에서는 태양이 북쪽 하늘을 지나가므로, 북향(0°)이 최적.
🔹 방위각에 따른 발전량 차이 (예: 북반구 기준)
방위각 | 발전량 비율(100% 기준) | 설명 |
180° (남향) | 100% | 최적의 발전량 |
150°~210° | 98~99% | 거의 최적 |
90° (동향) | 80~85% | 오전 발전량↑, 오후 발전량↓ |
270° (서향) | 80~85% | 오전 발전량↓, 오후 발전량↑ |
0° (북향) | 50~70% | 태양광 발전 비효율적 |
- 남향(180°)에서 10~15° 정도 서쪽으로 기울이면 오후 발전량 증가.
- 건물 옥상 태양광 설치 시, 공간 활용과 미적 요소 고려 필요.
- 추적형 시스템 사용 시, 방위각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
3. 태양고도각(Solar Altitude Angle)
① 개념
- 태양이 지평선 위에 위치하는 고도(높이)
- 단위: 도(°)
-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고도각도 변함.
- 북반구의 경우 하루 중 태양고도가 가장 높은 방향은 정남이다.
- 남반구의 경우 하루 중 태양고도가 가장 높은 방향은 정북이다.
- 태양고도각이 클수록 태양광 패널이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받음.
② 태양고도각 공식
$ h = 90° - \phi + \delta $
- h = 태양고도각(°)
- φ (Phi) = 관측자의 위도(°)
- δ (Delta) = 태양 적위(°) (계절에 따라 변함)
🔹 태양고도각의 계절 변화
- 여름: 태양고도각 ↑ (태양이 더 높이 뜸 → 발전량 증가)
- 겨울: 태양고도각 ↓ (태양이 낮게 뜸 → 발전량 감소)
🔹 태양고도각의 일일 변화
- 오전: 태양고도각 낮음 → 발전량 적음.
- 정오: 태양고도각 최대 → 발전량 최고.
- 오후: 태양고도각 낮아짐 → 발전량 감소.
태양광 발전 최적화를 위한 고려사항
- 고위도 지역에서는 패널을 더 기울여야 함.
- 추적형 시스템을 활용하면 태양고도각 변화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조정 가능.
4. 태양광 패널 최적 경사각(Tilt Angle)
① 개념
- 태양광 패널을 수평면에서 기울이는 각도.
- 위도와 태양고도에 영향을 받음
- 10° 이하에서는 강우로 인한 자정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므로, 경사각은 10 ~ 90° 의 범위 내에서 목적에 맞게 설치
- 눈이 쌓이는 적설지대에서는 45° 이상의 각도로 하여 20 ~ 30cm 정도의 적설에 눈이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설계
- 단위: 도(°)
② 최적 경사각 공식
- 일반적으로 패널 경사각 = 위도 ± 10°
- 여름: 위도 - 10° (태양이 높게 뜨므로 경사 적게)
- 겨울: 위도 + 10° (태양이 낮게 뜨므로 경사 크게)
🔹 태양광 발전소 설치 시 일반적인 경사각 설정
위도 (°) | 일반적 경사각 (°) | 계절별 조정 |
0°~15° | 10°~15° | 고정형 가능 |
20°~30° | 20°~30° | 여름 -10°, 겨울 +10° |
35°~45° | 30°~40° | 계절별 조정 필수 |
50° 이상 | 40°~60° | 경사각 크게 조정 필요 |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경사각 조정 팁
- 여름에는 패널을 좀 더 수평에 가깝게 (낮은 경사각).
- 겨울에는 패널을 더 세워서 (높은 경사각).
- 추적형 시스템이 있다면 자동으로 조정 가능.
728x90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발전부지 조사 - 태양광발전부지 타당성 검토, 태양광발전부지 조사 (0) | 2025.02.11 |
---|---|
태양광발전 설치 가능 여부 조사 - 입지 관련 분석 (0) | 2025.02.10 |
주변 기상ㆍ환경 검토 - 일조시간, 일사량 (0) | 2025.02.10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 - 전력변환장치(인버터) (0) | 2025.01.20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 - 태양광발전모듈 (2) | 2025.01.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