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오래된글226

소프트웨어 공학(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 공학의 정의 - 과학적인 지식을 컴퓨터 프로그램 설계와 제작에 실제 응용하는 것이며, 이를 개발, 운영하고 유지 보수하는데 필요한 문서화 과정 - 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학문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운용, 유지보수 및 폐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 최.. 2018. 4. 19.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모든 조직 사회에는 그 구성원들이 따라야 하는 제도나 규정 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제도와 규정을 이해하고 업무를 처리해 나가다 보면, 가장 효과적으로 그 일을 처리하는 방법(Method)과 그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이 축적되는데, 이를 체계적으로 정의한 것이 방법론(Methodology)이.. 2018. 4. 19.
마르미 III 개발 방법론 PLT 6 마르미 III 개발 방법론 개요 최근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이기종 컴퓨터 사이의 연동 기술의 발전으로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새로.. 2018. 4. 19.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 디자인 패턴의 정의 - 반복되는 공통적인 문제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 - 프로그래밍에 적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구현방법들을 패턴화하여 재사용한다는 개념. 디자인 패턴의 등장 배경 - 객체지향 방법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패턴이 필요함. - 객체지향 디.. 2018. 4. 19.
나선형(Spiral) 모델 PLT 3 나선형(Spiral) 모델 PDCA Cycle(나선형 모델의 고안) Plan : 관리자는 품질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한다. Do : Plan에서 만들어진 변화의 실행을 요구한다. Check : 실행하는 동안에 자료수집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Act : 변화의 정착, 포기 또는 재시행 정의 기업 내에서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 2018. 4. 19.
구조적 방법론 구조적 방법론은 1960년대 말 'GO TO 논쟁'으로 촉발되어 1970년 초반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소프트웨어의 개발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이전 단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1970년대 중반의 구조적 설계와 더 나아가 1970년대 후반의 .. 2018. 4.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