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지배하는 기록

태양광발전사업 경제성 분석 - 태양광발전 경제성 분석 본문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기사

태양광발전사업 경제성 분석 - 태양광발전 경제성 분석

Andrew's Akashic Records 2025. 2. 24. 17:33
728x90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태양광발전 경제성 분석

1. 태양광발전설비 원가 구성

1.1. 공사원가 재료비 항목

  • 직접 재료비: 주요재료비, 부분품비 등
  • 간접 재료비: 소모재료비, 소모공구. 기구. 비품비. 가설재료비등

1.2. 공사원가 노무비

  • 기본급과 제수당, 상여금, 퇴직급여충당금의 합계액으로 한다.
  • 직접노무비는 공사공정별로 작업인원, 작업시간, 공사수량을 기준으로 계약 목적물의 공사에 소요되는 노무량을 산정하고 노무비 단가를 곱하여 계산한다.
  • 간접노무비는 원가계산자료를 활용하여 직접노무비에 대하여 간접노무비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 간접노무비는 직접노무비를 초과하여 계산할 수 없다. 다만 공사현장의 기계화, 자동화 등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간접노무비가 직접노무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빙자료에 의하여 초과 계산할 수 있다.

1.3. 공사원가 직접공사비와 간접 공사비

  • 1. 직접 공사비: 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공사경비 등
  • 2. 간접 공사비: 간접노무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국민건강보험료, 국민연금보험료, 건설근로자퇴지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기타 관련법령에 규정되어 있거나 의무로 지워진 경비로서 공사원가계산에 반영토록 명시된 법정 경비, 기타 간접공사경비(수도광열비, 복리후생비, 소모품비, 여비, 교통비, 통신비, 세금과공과, 도서인쇄비 및 지급수수료) 등

1.4. 초기투자비

  • - 주설비(PV 모듈, PCS(인버터), 지지물), 계통연계, 공사비, 인허가/설계감리/검사, 토지비용

1.5. 연간유지관리비

  • - 법인세, 보험료, 운정유지 및 수선비

1.6. 발전원가

발전원가 = {(초기투자비[원] / 설비수명년한[년])+연간유지관리비[원/년]} / 연간 총 발전량[kWh]

 

예시) 초기투자비 5억, 설비수명 15년, 연간 유지비가 2.5억인 1[MW] 태양광설비의 연간 총 발전량이 1,500,000[kWh]일 때 발전원가[원/kWh]는?

2. 태양광발전 사업 경제성 분석 기준

2.1. 순현가

  • 총편익 현가와 총비용의 현가 차이를 이용하고 그 값이 '0' 이상일 때 사업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경제분석 방법
  • 적용이 쉽다
  • 결과나 규모가 유사한 대안을 평가할 때 이용된다.
  • 각 방법의 경제성 분석 결과가 다를 경우 이 분석 결과를 우선으로 한다.
  • 자용투자의효율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 투자자사업이 클수록 나타난다.

2.2. 비용 편익비

  • 비용편익비는 투자로부터 기대되는 총 편익의 현가를 총비용의 현가로 나눈 값이다.
  • 총편익의 현재가치 총액과 총비용의 현재가치의 비율을 계산하는 지표로 사용한다.
  • B/C Ratio가 1보다 클수록 그 사업은 타당하다고 판단.
  • 장래에 발생되는 편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한 할인율로 할인한다.
  • 사업규모의 상재적 비교가 어렵다.

2.3. 내부 수익률

  • IRR이란 투자로부터 기대되는 미래 기대현금유입의 현가와 기대 현금유출의 현가를 동일하게 하는 할인율을 말한다.
  • 내부수익률법은 투자안으로 기되되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일치시키는 내부시익률이 자본비용보다 크면 투자안을 채택하고 작으렴 기각하는 의사결정방법
  • 총편익 현가와 총비용 현가의 차가 '0'이 되도록 하는 경제성 분석방법
  • 투자사업의 예상수익률을 판단할 수 있다.
  • 순현가, 비용편익비 적용시 할인율이 불분명할 경우 이용된다.
  • 짧은 수익성이 과장되기 쉽다.
  • 편익발생이 늦은 사업의 경우 불리한 결과가 발생한다.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