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ercent B (%B)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의 보조 지표로, 현재 주가가 밴드 범위 안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백분율(0~1 또는 0%~100%)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B는 현재 가격이 볼린저 밴드 내 어디쯤 위치해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공식
$$ \%B = \frac{(현재 가격 - 하단 밴드)}{(상단 밴드 - 하단 밴드)} $$
항목 | 의미 |
현재 가격 | 일반적으로 종가 (Close) 사용 |
상단 밴드 | MA + (k × 표준편차) |
하단 밴드 | MA - (k × 표준편차) |
%B 값의 해석
%B 값 | 범위 의미 |
> 1.0 | 주가가 상단 밴드 위에 있음 (과매수 가능성) |
= 1.0 | 주가가 상단 밴드에 정확히 위치함 |
0.5 | 주가가 중심선(MA)과 같음 |
= 0.0 | 주가가 하단 밴드에 정확히 위치함 |
< 0.0 | 주가가 하단 밴드 아래에 있음 (과매도 가능성) |
활용 예시
- %B > 1.0 → 상단 밴드 돌파 → 강한 상승 추세 또는 과열 신호
- %B < 0.0 → 하단 밴드 이탈 → 급락 후 반등 가능성 또는 약세 신호
- %B를 RSI, MACD, 볼륨 등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신뢰도 높은 매매 판단 가능
장점
- 볼린저 밴드 해석을 정량화(숫자로 표현)해주어 더욱 정밀한 분석 가능
- 밴드 돌파/이탈 여부를 간단히 판단
- 다른 기술 지표와 쉽게 결합 가능 (예: %B < 0.1 & RSI < 30 → 저점 포착)
주의점
- 볼린저 밴드가 좁은 구간에서는 작은 가격 변화로도 %B 값이 크게 요동칠 수 있음
- 추세 판단 없이 과매수/과매도만 해석하면 오히려 반대로 움직일 수 있음
- 항상 다른 지표와 보조적으로 사용해야 함
Probability of Mean Reversion (평균 회귀 확률)
개념 요약
평균 회귀(mean reversion)란, 시간이 지나면서 주가가 평균 수준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입니다.
- 평균보다 너무 높거나 낮은 가격은 시간이 지나 평균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
- 통계적으로는 Z-Score를 기준으로 얼마나 멀어졌는지를 보고 되돌릴 확률을 계산
관련 공식
1. Z-Score 계산
$$ Z = \frac{X - \mu}{\sigma} $$
- X: 현재 주가 (또는 지표)
- μ: 기준 평균 (예: 20일 이동평균)
- σ: 표준편차
2. 회귀 확률 계산
$$ P = 2 \times (1 - \Phi(|Z|)) $$
- Φ(Z): 표준 정규분포의 누적분포함수 (CDF)
- |Z|: 평균에서 떨어진 거리 (절댓값)
- P: 평균으로 되돌아갈 확률 (0~1 사이)
예시
- Z = 0 → 평균과 같음 → 회귀 확률 = 100%
- Z = ±1 → 회귀 확률 ≈ 68%
- Z = ±2 → 회귀 확률 ≈ 95%
- Z = ±3 → 회귀 확률 ≈ 99.7%
Z-Score | 평균 회귀 확률 | 의미 |
0 | 1.00 (100%) | 이미 평균 |
1.0 | ~68% | 평균보다 약간 높음 |
2.0 | ~95% | 평균보다 매우 높음, 회귀 가능성 큼 |
3.0 | ~99.7% | 극단적 과매수/과매도 상태 |
실제 투자 활용
활용 방법 | 설명 |
Z < -2 | 주가가 평균보다 매우 낮음 → 반등 가능성 |
Z > +2 | 주가가 평균보다 매우 높음 → 하락 가능성 |
회귀 확률이 높을수록 | 추세가 아니라 반전의 가능성에 초점을 둠 |
⚠️ 단, 강한 추세 시장에서는 평균으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 멀어질 수도 있음 → 추세 판단 병행 필수
728x90
'All at O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분포 기반 주가 판단 지표 - Bollinger Bands (볼린저 밴드) (0) | 2025.05.15 |
---|---|
정규분포 기반 주가 판단 지표 - Z-Score (표준점수) (0) | 2025.05.14 |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FED)의 경제 안정 전략 (1) | 2024.07.09 |
여러가지 경제지표 (0) | 2024.07.09 |
경제 지표(GDP, GDI)와 경기 침체 (0) |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