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ollinger Bands (볼린저 밴드)
기술적 분석에서 가격의 변동성과 추세를 동시에 시각화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지표입니다. 주가가 통계적으로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판단하고,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탐지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상단 밴드와 하단 밴드를 그리고, 밴드 폭은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 개발자: 존 볼린저 (John Bollinger)
- 목적: 가격이 평균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판단
구성 | 공식 | 의미 |
중심선 | 이동평균 (보통 20일 SMA) | 기준이 되는 평균선 |
상단 밴드 | 이동평균 + (k × 표준편차) | 가격의 상한선 예측 |
하단 밴드 | 이동평균 - (k × 표준편차) | 가격의 하한선 예측 |
일반적으로 k = 2로 설정하며, 이는 ±2σ 범위로 약 95%의 데이터가 포함된다는 정규분포 가정을 따릅니다.
예시 공식 (기본 설정 기준)
- MA20: 20일 단순 이동평균
- STD20: 20일 표준편차
- Upper Band = MA20 + 2 × STD20
- Lower Band = MA20 - 2 × STD20
해석 방법
상황 | 해석 | 전략적 의미 |
상단 밴드 터치 또는 돌파 | 과매수 가능성 | 주의 또는 매도 시점 |
하단 밴드 터치 또는 이탈 | 과매도 가능성 | 반등 가능성 또는 매수 시점 |
밴드 수축 (Band Squeeze) | 변동성 축소 | 큰 변동 전조로 해석 |
밴드 확장 (Band Expansion) | 변동성 확대 | 현재 추세가 강하다는 신호 |
장점
- 추세선과 변동성(표준편차)을 동시에 고려 가능
- 범용성 높아 어떤 자산에도 적용 가능 (주식, 환율, 암호화폐 등)
- 이상값(outlier) 탐지에 강력
주의할 점
- 밴드 돌파만으로 매수/매도 신호로 단정하면 위험 (다른 지표와 병행 필요)
- 추세 지속 신호인지 되돌림 신호인지 판단 중요
- 횡보장에서는 잘 작동하나, 추세장이면 속임수 가능
관련 보조지표
- %B: 현재 가격이 밴드 내 어디쯤 위치해 있는지 (0: 하단, 0.5: 중앙, 1: 상단)
- BandWidth: 상단과 하단의 거리 → 변동성 측정
728x90
'All at O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분포 기반 주가 판단 지표 - Z-Score (표준점수) (0) | 2025.05.14 |
---|---|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FED)의 경제 안정 전략 (1) | 2024.07.09 |
여러가지 경제지표 (0) | 2024.07.09 |
경제 지표(GDP, GDI)와 경기 침체 (0) | 2024.07.08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0) |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