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004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삶살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의 생애는 철학적 성찰과 정치적 권력 사이에서 끊임없이 흔들렸던 삶이었다. 그는 기원전 4년경 히스파니아의 코르도바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로마로 건너와 수사학과 철학을 배웠다. 이때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깊이 받았고, 특히 인간의 내면과 감정, 삶의 태도를 다루는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젊은 시절부터 세네카는 뛰어난 웅변술과 지적 재능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로마의 정치 세계는 그에게 순탄치 않았다. 칼리굴라 황제 시절에는 그의 재능이 질투를 불러 죽음의 위기에 몰리기도 했으며, 클라우디우스 황제 치하에서는 황후 메시나와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외딴 섬으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그는 역경 속에서도 철학적 저술을 이어가며 내면의 평정을 .. 2025. 9. 16. 스토아 철학(Stoicism) 스토아 학파로 규정 지을 수 있는 특징단순시 "스토아 철학을 공부했다"는 사실만으로 스토아 철학자라 부를 수는 없다. 실제로 어떤 사상가가 스토아 학파에 속한다고 규정할 수 있는 기준을 특징 지어본다. 1. 철학의 중심을 ‘자연에 따른 삶’에 둔다스토아 학파는 "자연(로고스)에 따라 사는 삶"을 인간의 궁극적 목표로 보았다.자연 = 우주를 관통하는 이성적 질서(로고스), 따라서, 스토아 철학자라면 인간의 이성이 이 보편 질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믿음을 공유한다. 2. 덕(virtus)을 유일한 선으로 본다스토아 철학의 윤리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규정은 덕을 유일한 선으로 본다는 것이다.부, 건강, 명예, 쾌락 같은 것들은 본질적으로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무차별적 것(adiaphora). 오직 덕(이.. 2025. 9. 16. 국화와 칼(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국화와 칼" 은 1943~46년 전시·점령기 미국 정부가 “일본을 이해해야 한다”는 실무적 요구를 학계에 주문하면서 태어났다. 루스 베네딕트는 미 정부의 전시정보국(OWI) 산하 해외지부 외국사기분석과(FMAD)에 참여해 일본인의 행동 양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보고서를 맡았고, 그 중간 성과였던 「Japanese Behavior Patterns」(1945)이 책의 뼈대가 되었다. 출판본 서지에도 “OWI의 초청으로” 쓰였다는 취지가 명시되어 있다. 즉, 이 책은 점령을 앞둔 미국이 일본 사회의 의식 구조를 읽고 정책·선전·행정에 활용하려는 필요에서 출발했다. 당시 현지조사가 불가능했던 만큼 방법은 ‘원격 인류학(culture at a distance)’이었다. 일본 문학·역사·신문·영화 같은 공개 자.. 2025. 9. 8. 결핍은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센딜 멀레이너선(경제학자)과 엘다 샤퍼(심리학자)의 공저로, 원제는 "Scarcity: Why Having Too Little Means So Much"(2013)입니다. 2025년에 한국어 새 번역·개정판이 이 제목으로 다시 출간되었고, 예전 번역본은 "결핍의 경제학"으로 유통됐습니다. 돈, 시간, 사회적 관계 등 어떤 자원이 부족하다고 "느끼는"상태(결핍)가 우리의 주의, 판단, 의사결정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책에서 다루는 주요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책은 총 3부와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부의 내용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1부. 결핍의 사고방식돈·시간·관계 등 어떤 자원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상태(결핍)가 우리의 주의, 판단, 행동을 어떻게 바꾸는지.. 2025. 8. 30. 라프로치먼트(rapprochement) 마거릿 멀러(Margaret 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separation-individuation theory) 중에서 라프로치먼트(rapprochement) 단계는 아주 중요한 전환점이자, 인간 관계의 이중성과 갈등을 처음으로 깊이 체험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과 엄마가 분리된 존재임을 깨달은 이후에 겪는 내적 갈등의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감정과 갈등을 잘 통과한 아이는, 훗날 타인과의 관계에 건강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라프로치먼트 단계란?시기: 대략 생후 15개월~24개월 사이이름의 의미: 'Rapprochement'는 프랑스어로 다시 가까워지기를 뜻. 분리되려다 다시 가까이 가고자 하는 움직임을 표현.어떤 일이 벌어질까?아이의 내면에서 다음과 같은 모순된 .. 2025. 8. 28. 지연선택(Delayed-Choice) "일상적인 양자역학에서 관측자의 행위가 아주 미묘한 과정을 거쳐 머나먼 과거까지 도달할 수 있다." - 존 휠러 휠러가 말한 핵심은 우리가 지금 어떤 방식으로 관측(측정)을 하느냐에 따라, 그 대상의 '과거에 대한 서술'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이건 시간여행이나 진짜 과거를 바꿀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무엇이 일어났다고 말할 수 있는지가 현재의 측정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표준 양자역학이 주는 결론입니다. 휠러의 지연선택 이중 슬릿 실험단일 광자(또는 전자)를 이중 슬릿에 보내고 마지막 순간에 우리가 무엇을 측정할지(간섭무늬 VS.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를 고르면, 결과가 그 현재의 선택에 맞게 나타납니다. 과거를 바꾸는게 아니라, 과거를 어떻게 서술할 수 있는지가 현재의 측정 기저 선택으.. 2025. 8. 11. South Korea Battles Trade Pressures, Searing Heat and Diplomatic Reset Under New President Lee SEOUL, Aug. 5, 2025 — South Korea’s fledgling government is juggling a trio of urgent tests this week: fresh U.S. tariffs that threaten export-led growth, an unrelenting summer heatwave that has pushed emergency services to the brink, and a delicate foreign-policy realignment after the June inauguration of President Lee Jae-myung Trade: scrambling to blunt higher U.S. dutiesHours after Washingto.. 2025. 8. 5. 무경계 가설(No-Boundary Proposal)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과 제임스 하틀(James Hartle)이 함께 제안한 무경계 가설은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론으로, 우주의 시작점이 경계 없는 상태였다는 것을 설명하는 가설이다. 1983년에 발표되었으며, 특히 "양자 우주론"의 맥락에서 이애해야 하는 개념이다.왜 "무경계"라는 개념이 필요했을까?우주는 빅뱅(Big Bang)에서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론적으로 빅뱅 이전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특이점(singularity)'이라는 지점이 나옵니다.이 특이점에서는 밀도, 온도, 곡률이 무한대가 된다.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는 이 특이점을 설명할 수 없다.수학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이전 시간은 정의할 수 없게 된다.그래서 이 특이점을 회피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했고,.. 2025. 8. 5. 찬드라세카르 한계(Chandrasekhar Limit) 발견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1930년, 19세의 나이로 인도에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으로 유학을 떠나던 배 안에서, 찬드라세카르는 한 가지 생각을 합니다.그는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 특히 축퇴압(degeneracy pressure) 개념을 사용해서 죽어가는 별의 최종 상태를 계산하기 시작합니다. 그는 이 이론으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되고, 오늘날 항성 진화, 초신성 폭발, 중성자별·블랙홀 형성 이해의 핵심이 됩니다.찬드라세카르 한계란? 백색왜성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최대 질량 = 약 1.4 태양질량(𝑀☉)이 한계를 넘으면 중력에 의해 백색왜성은 더 이상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게 됩니다. ① 진화 막바지에 이른 별중간질량 별 (태양 같은 별)은 수명을 .. 2025. 8. 1. 이전 1 2 3 4 ··· 11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