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래된글/소프트웨어공학56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 디자인 패턴의 정의 - 반복되는 공통적인 문제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 - 프로그래밍에 적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구현방법들을 패턴화하여 재사용한다는 개념. 디자인 패턴의 등장 배경 - 객체지향 방법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패턴이 필요함. - 객체지향 디.. 2018. 4. 19. 나선형(Spiral) 모델 PLT 3 나선형(Spiral) 모델 PDCA Cycle(나선형 모델의 고안) Plan : 관리자는 품질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한다. Do : Plan에서 만들어진 변화의 실행을 요구한다. Check : 실행하는 동안에 자료수집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Act : 변화의 정착, 포기 또는 재시행 정의 기업 내에서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 2018. 4. 19. 구조적 방법론 구조적 방법론은 1960년대 말 'GO TO 논쟁'으로 촉발되어 1970년 초반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소프트웨어의 개발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이전 단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1970년대 중반의 구조적 설계와 더 나아가 1970년대 후반의 .. 2018. 4. 19. 객체지향 방법론 1990년대를 대표하는 정보기술은 인터넷과 객체지향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PC의 성능은 더욱 강력해지고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 기술의 현저한 발전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대량으로 생산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객체는 실 세계의 개념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고.. 2018. 4. 19. User Stories Applied : Chapter 12 왜 사용자 스토리인가? 사용자 스토리의 장점 구두 의사소통 모든 것을 기록하고 기록된 사항에 모두가 동의했다면, 어떠한 의견 차이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개발자들은 정확히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알고 테스터들은 정확히 무엇을 테스트해야 하는지 알며, 무엇보다 고객들은 정확히 자신들이 원하는 것.. 2018. 4. 18. User Stories Applied : Chapter 11 스토리가 아닌 것 사용자 스토리는 IEEE 830이 아니다. Tip : IEEE 830 IEEE 컴퓨터학회에서는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출판하였다. ‘IEEE 830’이라 알려진 이 문서는 1998년에 최종적으로 개정되었다. 이 문서는 요구사항 명세 문서를 어떻게 구조화하는지, 프로토타이핑의 역할은 .. 2018. 4. 18.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