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자바네트워크
- android
- spring data jpa
- 인프라
- 코틀린
- chatGPT's answer
- spring integration
- GPT-4's answer
- 소프트웨어공학
- 시스템
- jpa
- JVM
- Database
- 리눅스
- python
- Java
- 유닉스
- kotlin
- flet
- 파이썬
- 고전역학
- 자바암호
- write by chatGPT
- 웹 크롤링
- 역학
- oracle
- NIO
- 데이터베이스
- write by GPT-4
- 자바
Archives
- Today
- Total
기억을 지배하는 기록
Git 기본 명령어 본문
728x90
기본적인 Git 명령어는 프로젝트의 버전 관리와 협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명령어들입니다. 다음은 기본 Git 명령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 git init: 현재 디렉토리에 새로운 Git 저장소를 초기화합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라는 숨김 폴더가 생성되며, 이 폴더에 Git 관련 정보가 저장됩니다.
- git clone <remote-repository-url>: 원격 저장소를 로컬 디렉토리로 복제합니다. 이렇게 하면 원격 저장소의 모든 파일과 커밋 기록이 로컬 저장소로 가져와집니다.
- git status: 현재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변경된 파일, 스테이징된 파일, 커밋되지 않은 변경 사항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add <file> 또는 git add .: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합니다. <file> 대신 .를 사용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합니다.
- git commit -m "commit message":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여 해당 커밋에 대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git log: 저장소의 커밋 기록을 확인합니다. 각 커밋의 해시, 작성자, 날짜, 커밋 메시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diff: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 사이의 차이를 확인합니다. 어떤 변경 사항이 스테이징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remote add <remote-name> <remote-repository-url>: 원격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일반적으로 원격 저장소의 이름으로 "origin"을 사용합니다.
- git pull <remote-name> <branch-name>: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옵니다. 이를 통해 원격 저장소의 최신 상태를 로컬 저장소와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 git push <remote-name> <branch-name>: 로컬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합니다. 이를 통해 로컬에서 작업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와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 git branch: 현재 저장소의 브랜치 목록을 확인합니다. 현재 활성화된 브랜치 앞에 * 표시가 있습니다
- git branch <branch-name>: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만들어 기능별로 작업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 git checkout <branch-name>: 지정한 브랜치로 이동합니다. 이를 통해 다른 브랜치의 작업 내용을 확인하거나 해당 브랜치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git checkout -b <branch-name>: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해당 브랜치로 이동합니다. 이 명령어는 git branch와 git checkout 명령어를 합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git merge <branch-name>: 지정한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현재 브랜치로 병합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이 완료된 기능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에 병합할 수 있습니다.
- git fetch <remote-name>: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지만, 자동으로 병합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통해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 병합하거나 무시할 수 있습니다.
- git stash: 작업 중인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 작업 디렉토리를 깨끗한 상태로 되돌립니다. 이를 통해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현재 작업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 git stash list: 임시로 저장한 변경 사항 목록을 확인합니다.
- git stash apply: 가장 최근에 저장한 임시 변경 사항을 다시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임시로 보관한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습니다.
- git stash drop: 가장 최근에 저장한 임시 변경 사항을 제거합니다. 이미 적용한 변경 사항이나 더이상 필요 없는 변경 사항을 제거할 때 사용합니다.
- git stash pop: 가장 최근에 저장한 임시 변경 사항을 적용하고 목록에서 제거합니다. 이 명령어는 git stash apply와 git stash drop을 합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Git에는 다양한 고급 명령어와 기능이 있지만, 위의 기본 명령어들을 익히면 대부분의 일반적인 버전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Git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728x90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원격 리포지토리 (0) | 2023.03.25 |
---|---|
Git 브랜치(branch)와 병합(merge) (0) | 2023.03.25 |
Git 상태 조회 및 변경 내용 확인 (0) | 2023.03.25 |
Git 설치 및 설정 (0) | 2023.03.25 |
Git 버전 관리 시스템 이해 (0) | 2023.03.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