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닉스
- 리눅스
- kotlin
- oracle
- GPT-4's answer
- spring integration
- 고전역학
- 코틀린
- spring data jpa
- write by GPT-4
- chatGPT's answer
- JVM
- 자바네트워크
- 파이썬
- Database
- jpa
- Java
- android
- 자바암호
-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 python
- 자바
- 인프라
- write by chatGPT
- flet
- 소프트웨어공학
- 웹 크롤링
- 역학
- NIO
- Today
- Total
기억을 지배하는 기록
파일 압축 명령어 본문
Tar
tar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며, 이들 가운데 선택적으로 파일을 풀거나 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tar -flag [tarfilename] [filename1, filename2..]
먼저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tar파일압축 할 때
tar cvf files.tar file1 file2 file3 |
[-c] 옵션은 새로운 tar파일을 생성할 때 쓰이고, [-v]는 tar의 작업진행상황을 보여준다. [-f] 옵션은 다음의 매개변수를 tar 파일 이름으로 지정한다. files.tar로 생성된 tar파일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하고 싶으면 [-r]옵션을 쓰면된다.
tar -rvf files.tar file4 |
현재 생성된 tar파일의 리스트를 보고 싶다면 [-t] 옵션을 쓰면된다.
tar -tvf files.tar
-rw-r--r-- 4000/10 2537 Oct 7 11:26 2000 file1 -rw-r--r-- 4000/10 3432 Oct 12 15:11 2000 file2 -rw-r--r-- 4000/10 2665 Oct 12 15:11 2000 file3 -rw-r--r-- 4000/10 3523 Oct 12 15:09 2000 file4 |
files.tar 파일을 원래의 파일로 복구하려면 [-x ] 옵션을 써서 다음과 같이 하면된다. 주의할 것은 기존의 file1, file2, file3, file4 가 존재하면 files.tar를 파일을 풀경우 덮어쓰게 된다. 만일 file1, file2, file3, file4가 내용이 추가되고 변경되었다면, 파일의 이름을 바꾸고 files.tar를 파일을 풀던가 아니면, 다른위치에서 풀어야 한다.
tar -xvf files.tar
x file1, 2537 bytes, 5 tape blocks x file2, 3432 bytes, 7 tape blocks x file3, 2665 bytes, 6 tape blocks x file4, 3523 bytes, 7 tape blocks |
tar 옵션 정리
-c | 새로운 tar파일을 만든다. |
-r | 기존의 tar파일 끝에 새로운 파일 추가. |
-t | tar파일이 저장하고 있는 파일 리스트 출력. |
-u | tar파일의 추가 또는 수정. |
-x | tar파일에서 파일들을 복구. |
-b | 테이프를 이용할 때 블록 크기 지정 |
-e | 예상치 않은 에러발생시 정상종료상태를 반환하며 종료. |
-f | 매개변수를 tar파일로 지정. 지정치 않을 경우 환경변수TAPE를 참조한다. /dev/rmt8 을 기본적으로 이용 |
-h | 심볼릭 링크인 경우 실제의 파일내용을 이용. |
-i | 디렉토리의 chechsum 에러무시 |
-m | tar파일을 풀 때 각 파일의 수정시간을 tar파일을 푸는 현재 시간으로 설정 |
-p | tar파일을 복구할 때 umask값을 무시하고, 원래의 파일접근권한을 이용. 슈퍼유저인 경우 setuid,sticky bit 값도 복구된다. |
-v | tar의 작업진행 상황을 보여준다. |
-w | tar작업 수행 시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지의 여부를 물어본다. |
Compress
compress -flag [filename]
compress 를 이용하여 파일을 압축하게 되면 압축된 파일이름 뒤에 .Z가 붙게 된다. 압축된 파일도 원래 파일들의 권한 및 시간 등의 모든 속성은 계속 유지된다. compressfile을 압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compress compressfile |
압축된 파일을 원래 상태로 다시 풀기위해선 [-d] 옵션을 써서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compress –d compressfile.Z |
compress 옵션 정리
-d | compress로 압축된 파일을 풀어준다. |
-c | 파일을 표준 출력 장치로 압축한다. |
-f | 파일을 압축할 때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으면 덮어쓴다. |
-v | 압축률을 퍼센트로 보여준다. |
gzip & gunzip
gzip -flag [filename]
gunzip -flag [filename]
gzip으로 파일을 압축하게 되면, .gz 확장자를 갖는 압축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의 소유권, 권한,수정시간 등 속성들은 그대로 보존된다.
gzip file1 |
tar 명령어는 원래의 원본파일도 남겨두면서, 새로운 tar파일을 생성하는데 반해, gzip으로 압축을 하면, 원래의 파일이름이 압축파일 내에 저장되어 .gz 파일만 남게 된다. 압축된 파일은 [ gzip –d ] 또는 gunzip 명령어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gzip -d file1.gz or gunnzip file1.gz |
gunzip 명령어는 .gz 또는 .Z 확장자를 가진 압축파일을 복구하며, compress나 pkzip을 이용하여 압축된 파일도 복구한다.
gzip 옵션 정리
-d | --decompress 압축된 파일을 복구한다. |
-f | --force 파일이 링크되어있거나, 이미 존재 되어있을 경우 강제로 압축한다. |
-h | --help 명령어 도움말을 보여준다. |
-l | --list 압축된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
-r | --recursive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도 모두 처리한다. |
'Operation System Contr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3 Unix System 보안 (0) | 2018.04.17 |
---|---|
Chapter 2 Unix 사용자 계정 관리 (0) | 2018.04.17 |
Chapter 1 Unix System 시작과 종료 (0) | 2018.04.17 |
포트 스캐닝 감시 및 OS 정보 숨기기 (0) | 2018.04.17 |
파일 핸들링 (0) | 2018.04.17 |